생활정보

자동차검사소 예약 조회 자동차검사 항목 비용 준비물

다함께차차차! 2024. 1. 4. 16:09
반응형

자동차검사소 예약 조회
자동차검사소 예약 조회

자동차 정기검사란 무엇이고 언제, 어떻게, 어디서 받게 되는지와 준비물, 비용까지 정리해보았습니다.


목 차

    1. 자동차 정기검사란?

    반응형

    자동차 정기검사

    정기검사는 최초 등록일로부터 4년이 되는 날 전후 한 달 안에 의무적으로 받아야 합니다. 받지 않으면 4만원 이상의 과태료가 부가됩니다.

     

    최초등록일과 검사 받아야 하는 기간은 자동차등록증에서 확인할 수가 있고 검사일자가 가까워지면 카톡이나 문자로 알려 주기도 합니다.

     

    요새는 네이버 My Car 서비스가 있어서 차량을 등록해 놓으면 검사일자, 리콜, 보증 등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이후 검사를 다 받고 나서는 2년마다 1번씩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2.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검사소 예약

    반응형

    자동차검사소 예약

    그렇다면 검사를 어디서 어떻게 받을 것인가?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 검사소에서 받거나 민간검사소에서 받거나 둘 중 하나인데요. 어디서 받아도 상관없습니다. 

     

    공식검사소에서 받으려면 무조건 예약을 해야 합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에서 예약하면 되는데 검사 받으라고 온 문자나 카톡에 링크를 타고 들어가 되고 네이버 마이카에서도 쉽게 들어갈수가 있습니다.

     

    예약하는 방법은 어렵지가 않습니다. 자동차번호 입력과 지역조회로 해당 지역의 자동차검사소를 선택하는 절차대로 진행해주시면 되고 결제하면 예약 끝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예약 잡기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직장생활하면 연차를 쓰지 않는 이상 토요일 밖에 시간이 없는데 토요일에 받고 싶으면 적어도 한달 전에 해야 됩니다.

     

     

    3. 자동차 민간검사소 예약 

    반응형

    민간검사소 예약

    그리고 검사소가 가깝지 않으면 멀리 찾아가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럴때는 민간검사소를 찾게 됩니다. 길가다가 '자동차검사소' 또는 '자동차 검사 가능' 이런 간판을 보였을 겁니다.

     

    효력은 공식 한국교통안전공단 검사와 같으니까 안심하셔도 되지만 혹시 모르니까 공단홈페이지에서 민간검사소로 지정된 사업자인지 확인해 주시면 좋습니다.

     

    경우에 따라 엔진오일 교환 등도 함께 필요한 경우 자동차검사도 겸사겸사 하면서 이용하면 좋습니다. 이런 민간검사소는 확실히 예약이 널널하고 비용적인 차이도 크게 없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보면 예약하기가 편하고 이동거리 및 기름값이나 시간을 생각하면 민간검사로를 이용하는 게 나은 것 같기도 합니다.

     

     

    4. 자동차검사 항목 및 준비물, 검사비용

    반응형

    자동차검사 항목 및 준비물, 검사비용
    자동차검사 항목 및 준비물, 검사비용

    준비물은 자동차등록증만 있으면 됩니다. 접수하고 차에 키를 두고 내리고 20분정도 기다리면 검사가 완료됩니다. 이후 정비사님이 오셔서 검사 내용에 대해서 설명해 줍니다.

     

    자동차 검사는 앞바퀴 정렬/운전대 등 조향계통. 차축타이어/휠 상태 등 주행계통, 브레이크검사, 매연수치가 25%이하인 배출가스 검사, 등화장치,계기 계통 등을 확인합니다.

     

    검사비용은 차종이 경형, 소형, 중형, 대형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는데 17,000원~29,000원 정도 입니다. 참고로 한국교통안전공단 검사소와 민간검사소 모두 검사비용은 큰 차이가 없습니다.

     

    이외의 사항들은 한국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에서 참고하시거나 동호회 등에서 정보를 얻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