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을 발견하면“불이야”하고 외쳐 다른사람에게 알립니다. ▲ 화재경보 비상벨을 누릅시다. ▲ 엘리베이터는 절대 이용하지 않도록 하며 계단을 이용해 옥외로 대피합니다. ▲ 아래층으로 대피가 불가능한 때에는 옥상으로 대피합니다. ▲ 세대 밖으로 나가기 어려울 경우 세대사이에 설치된 경량칸막이를 통해 옆세대로 대피 하거나 세대 내 대피공간으로 대피합니다. • 대피공간은 화재, 연기로부터 60분이상 보호해 줍니다. • 대피공간 피난 후 창문으로 구조요청을 하거나, 완강기를 이용해 피난할 수 있습니다. • 전원차단에 대비해 휴대용 비상조명등이 있습니다. • 대피공간이나 경량칸막이 주위에 물건을 적치하면 안됩니다.
▲ 완강기가 설치되어 있는 세대는 완강기를 이용해 피난합니다. ▲ 낮은 자세로 유도등, 유도표지를 따라 대피합니다.
▲ 연기가 많을 때는 팔과 무릎으로 기어서 이동하고, 코와 입을 젖은 수건으로 막아 연기를 마시지 않도록 합니다. ▲ 방문을 열기 전 문 손잡이가 뜨거우면 문을 열지 말고 다른 길을 찾습니다. ▲ 옷에 불이 붙었을 때에는 눈과 입을 가리고 바닥에서 뒹굽니다.
2. 소화기 사용법
3. 옥내소화전 사용법
4. 심폐소생술
5. 화재 신고 요령
▲ 침착하게 전화 119번을 누르고 화재 내용을 간단, 명료하게 설명합니다. ▲ 주소를 정확하게 알려줍니다. ▲ 공중전화의 긴급통화버튼을 누르거나 개통이 안된 휴대전화도 긴급신고 통화를 할 수 있습니다. ▲ 장난전화를 하지 맙시다.
6. 소방차 출동 시 양보요령
7. 전기화재 예방
▲ 규격전선을 사용하고 전기공사는 면허 업체를 통하여 공사하여야 합니다. ▲ 누전차단기는 월 1회 이상 정상동작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 하나의 콘센트에 여러 개의 전기기구 플러그를 접속시켜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