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ontents 1237

2022년 공무원 초과근무 수당 지급단가

2022년 공무원 초과근무 수당 지급단가 (단위 : 원) 직 종 계급・직무등급 시간외(시간당) 야간(시간당) 휴일(일당) 일반직・특정직 (외무・군무원) ・별정직 5급・5등급 14,446 4,815 116,125 6급・4등급 12,321 4,107 99,041 7급・3등급 11,130 3,710 89,465 8급・2등급 9,992 3,331 80,320 9급・1등급 9,160 3,011 73,280 전문경력관 등 가 군 14,691 4,897 118,089 나 군 11,664 3,888 93,758 다 군 9,379 3,126 75,395 일반직 우정직군 1 급 16,895 5,632 135,808 2 급 15,829 5,276 127,237 3 급 14,760 4,920 118,648 4 급 13,802..

해양경찰 승진시험 안내

해양경찰 승진시험 안내 해양경찰 승진제도 안내 해양경찰 승진제도 안내 해양경찰 승진제도 안내 1. 승진 종류 및 대상계급 ○ ‌심사승진임용:경무관 이하 승진 ‌ ‌ ○ ‌시험승진임용:경정 이하 승진 ‌ ‌ ○ ‌특별승진임용:치안정감 이하 승진 ‌ ‌ ○ ‌ funfunfunny7.tistory.com 1. 대상 및 요건 ‌ ○ 승진소요 최저근무연수를 경과한 사람 ※ 기준일: 시험실시연도의 1월 1일 ‌ ‌ ○ 승진임용 제한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한 사람 ○ 「경찰공무원 교육훈련 규정」제8조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한 교육을 받은 자로서 당해 교육성적이 만점의 60% 이상일 것 ※ 해당 계급에서의 신임교육과정은 기본교육으로 인정 ‌ ‌ ○ 「경찰공무원 승진임용 규정」 제35조제1항 각 호의..

해양경찰 승진제도 안내

해양경찰 승진제도 안내 1. 승진 종류 및 대상계급 ○ ‌심사승진임용:경무관 이하 승진 ‌ ‌ ○ ‌시험승진임용:경정 이하 승진 ‌ ‌ ○ ‌특별승진임용:치안정감 이하 승진 ‌ ‌ ○ ‌근속승진임용:경감 이하 승진 2. 승진임용 절차 ○ ‌총경 이상:해양경찰청장 추천 → 해양수산부장관 제청 → 국무총리 → 대통령 임용 ‌ ‌ ○ ‌경 정:해양경찰청장 제청 → 국무총리 → 대통령 임용 ‌ ‌ ○ ‌경감 이하:해양경찰청장 임용 3. 임용권의 위임 ○ ‌‌지방해양경찰청장, 교육원장 및 해양경찰정비창장 - 경감 이하 계급으로의 승진임용 ‌ ‌ ○ ‌해양경찰서장 또는 중앙해양특수구조단장 - 경사 이하 계급으로의 승진임용 4. 승진소요 최저근무연수(해당 계급에서의 재직기간) ○ ‌총 경 (→ 경 무 관): 4년 ‌..

직무대리⋅권한대행⋅직무대행의 차이

직무대리⋅권한대행⋅직무대행의 차이 1. 직무대리(職務代理) 해당 관청이 직무를 행사하지 아니하고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대신 행사하게 하는 일을 말한다. 직무대리자는 원칙적으로 본래 담당한 직무를 수행하면서 직무대리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예외적으로 사고가 발생한 공무원의 직위에 승진심사결과 승진임용이 예정된 공무원에게 그 사고가 발생한 공무원의 직무대리를 하게 하는 경우에 직무대리하는 업무만을 전담하여 수행 하도록 하고 있었으나, 직무상 공백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별히 필요한 경우에도 직무대리하는 업무만을 전담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 권한대행(權限代行) 공법상(公法上) 어떤 국가기관 또는 국가기관의 구성원의 권한을 다른 국가기관이나 국가기관의 구성원이 대행하는 일이다. 사법상(私法上)으로는 ..

고시(告示)와 공고(公告)의 공통점과 차이점

고시(告示)와 공고(公告)의 공통점과 차이점 1. 고시와 공고의 공통점 (1) 고시ㆍ공고란 사무관리규정 시행상 공고문서라고 분류되는 것으로서 법령의 규정하는 바에 의하여 일정한 사항을 널리 일반 주민에게 알리는 행위를 말한다. (2) 고시ㆍ공고는 법령과는 달라서 법규의 성질을 가지지 아니하며 훈령 또는 행정처분과도 달라서 소속공무원 또는 주민에게 명령하거나 구속하지 아니함이 원칙이나, - 법령이 직접 정할 사항을 고시에 위임하였을 경우와 - 행정관청에 위임하였을 때 행정관청이 고시로서 정하는 경우에는 법령의 수권에 의하여 구체적 세부적 사항을 고시에 의하여 규정하게 되는 것이므로 그 수권의 범위 내에 서는 행정청과 주민을 구속하는 효력을 갖는다. (3) 또한 고시ㆍ공고는 행정행위의 성립요건이 되는 경우도..

세계 여러나라 기본 인사말 다운

세계 여러나라 기본 인사말 다운 (영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일본어, 중국어, 베트남어, 러시아어, 인도네시아어) 한 국 어 영 어 영 문 발 음 기 호 안녕하세요? How are you? [hau ɑːr juː] 반갑습니다 Nice to meet you. [nais tuː miːt juː] 어제저녁 잘 쉬셨나요? Did you have a good rest last night? [did juːhæv ə gud rest læst nait] 한국음식 맛있습니까? Do you like korean food? [duː juː laik kəríːən fuːd] 많이 드세요 Help yourself. [help juəːrsélf] 한국에 몇 번 와보셨나요? Have you ever ..

대한민국 국회사무처의 조직과 역할, 기능

대한민국 국회사무처의 조직과 역할, 기능 1. 설 립 국회사무처는 입법 및 예・결산 심사 등의 활동을 지원하고 행정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국회법 」에 근거, 「국회사무처법 」에 따라 운영되는 입법지원조직으로서 제헌국회 때 설립되어 우리 국회와 역사를 함께하고 있습니다. 2. 조 직 3. 국회사무처 부서 안내 4. 직 무 국회사무처의 직무는 「국회사무처법 」에서 그 범위를 정하고 있으며, 국회의장의 지휘·감독을 받아 중립적으로 공정하게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법률안 및 예·결산 심사 지원 ● 본회의 및 위원회 회의운영 지원 ● 의회외교활동 지원 ● 국회 의사중계 방송 및 홍보 ● 국회의원의 의정활동 지원 ● 국회의 청사관리·경비 및 후생 등 5. 역 할 5-1. 법률안 입안 및 심사 지원 국회의원..

경찰 승진시험 안내

경찰 승진시험 안내 1. 응시자격 · 근거 : 경찰공무원승진임용규정 제6조1항, 제28조 관련 · 응시자격 - 시험실시년도 현재 승진소요 최저 근무연수(경감 3년, 경위/경사 2년, 경장/순경 1년)에 달한 자 - 당해 계급의 기본(신임)교육과정을 이수한 자로서 교육성적이 만점의 6할 이상인 자 - 다음의 "경찰공무원승진임용규정" 제6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승진임용의 제한을 받지 아니한 자 입니다. ① 징계의결요구, 징계처분, 직위해제, 휴직 또는 시보임용기간 중에 있는 자 ② 징계처분을 받고 일정기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정직 18개월, 감봉 12개월, 견책 6월) 2. 시험방법 계 급 경정, 경감 필기시험 경위 이하 필기시험 제1차 객관식 2과목 객관식 3과목 제2차 주관식 1과목 3. 시험과목 통..

의회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 안내

지방의회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 안내 1. 위원회 제도의 필요성 • 현대행정의 기능이 확대되고 복잡・다양화됨에 따라 본회의에서 전체의원이 모여 광범 위한 영역 전반에 대하여 심의하는 것은 어렵고 부적합하므로, 소수의 의원들이 전문적・ 능률적으로 안건을 심사하여 본회의 상정 여부 등을 결정하는 예비적인 심사절차가 필요 2. 위원회의 종류 • 상임위원회 「상임위원회」는 의안이 제출되고 청원 등이 접수되면 그 소관 사항에 해당하는 상임 위원회에 회부하여 심사케 하며 그 소관에 속한 의안의 입안과 입법 자료를 수집 • 특별위원회 「특별위원회」는 수 개의 상임위원회 소관과 관련되거나 특별한 사안에 대한 조사 등이 필요한 경우에 설치(상시적・일시적 모두 가능) ◈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의 차이점 ▶ 특별위원회는 전..

지방의회의 의장, 부의장 역할과 안내

지방의회의 의장, 부의장 역할과 안내 1. 의장, 부의장의 선거와 임기 □ 의장, 부의장의 선거 • 선거방법 : 무기명 투표 선거(법 제57조제1항) ※ 의장단 선거시 투표소 내 촬영행위(인증용)는 무기명투표원칙 위배사항 • 당선요건 : 재적의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의원 과반수 득표로 당선 - 과반수 출석・출석 과반수 득표자가 없을 경우 최고득표자와 차점자에 대하여 최고 득표자가 2인 이상이면 최고득표자에 대하여 결선투표를 하여 다수득표자를 당선자로 함 - 결선투표결과 득표수가 같은 때에는 해당 의회 회의규칙에서 정한대로 당선자를 결정 ※ 일부 지방의회는 후보자등록・정견발표제 및 다른 방식의 결선투표제 도입 □ 의장, 부의장의 임기 • 의장과 부의장의 임기는 2년(법 제57조제3항) - 의원 총선거 후 ..

지방의회 의원(도의원, 시의원, 구의원, 군의원)의 의무

지방의회 의원(도의원, 시의원, 구의원, 군의원)의 의무 1. 지방의회 의원의 의무 지방의원은 주민 전체의 대표자로서 법과 양심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유급제 실시이후 보다 강화된 지방의원의 의무와 윤리실천을 강조 ▣ 관련법규 : 「지방자치법」 제44조, 제95조, 제96조 및 회의규칙 권고안 ○ 법 제44조(의원의 의무) ①지방의회의원은 공공의 이익을 우선하여 양심에 따라 그 직무를 성실히 수행하여야 한다. ②지방의회의원은 청렴의 의무를 지며, 지방의회의원으로서의 품위를 유지하여야 한다. ③지방의회의원은 지위를 남용하여 재산상의 권리・이익 또는 직위를 취득하거나 다른 사람을 위하여 그 취득을 알선해서는 아니 된다. ○ 법 제95조(모욕 등 발언의 금지) ① 지방의회의원은 본회의나 위원회에서 다른..

2022년 근로자 노동정책 개정사항

2022년 근로자 노동정책 개정사항 1. 휴게시설 설치 의무화제도 시행 ㅇ 2022년 8월 18일부터 모든 사업장에 휴게시설 설치가 의무화됩니다. ㅇ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건설현장 포함)에서 휴게시설을 설치하지 않거나 휴게시설의 설치․관리 기준을 준수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ㅇ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주는 근로자(관계수급인의 근로자를 포함)가 휴식시간에 이용할 수 있는 휴게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며, - 휴게시설 설치 시 크기, 위치, 온도, 조명 등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휴게시설 설치․관리 기준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주가 휴게시설 미설치시: 1,500만원 이하 과태료,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설치·관리기준 미준수시: 1,000만원 이하 과태료 2...

생활정보 2022.09.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