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정보/공무원

5급 행정고시 합격자(사무관) 부처배치 및 선호도 통계(2017~2018)

다함께차차차! 2022. 5. 26. 06:00
반응형

5급 행정고시 합격자(사무관) 부처배치 및 선호도 통계(2017~2018)

 아래의 5급 행정고시 합격자, 신규사무관의 부처배치 및 선호도 내용은 법률저널 등 공개된 조사에 따라 정리한 내용입니다. 오로지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행정고시 합격자들의 부처배치 통계는 인사혁신처에서 대외적 공개하고 있지 않음, 일부 확인되지 않은 연도, 행정고시 기수는 제외함)


1. 2019년 행정고시 63기 신임사무관 부처 배정 현황(2018년 수습사무관)

 

○ 가장 많은 인원이 배치된 부처 : 기획재정부(27명)
이중 재경직이 24명(88.9%)이다. 이는 재경직 수습사무관 79명 가운데 30.4%를 차지할 정도로 기재부 쏠림이 두드러졌다. 일반행정에서는 3명이 기재부로 배치됨
○ 두 번째로 많은 인원이 배치된 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24명)
과기부는 행정직에서 18명, 기술직에서 6명이 진출했다. 행정직 18명 중에는 일반행정이 1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재경 6명, 법무와 국제통상 각 1명이었다. 재경에서 6명의 신임사무관이 과기부를 택했다. 기술직은 화공(2명), 통신(2명), 기계(1명), 전산(1명) 등 4개 직렬에서 8명이 배치됐다.

 

○ 세 번째로 많은 인원이 배치된 부처 : 국토교통부(18명)
행정직에서 8명, 기술직에서 10명이 배치됐다. 행정직의 경우 일반행정과 재경에서 각 3명이 진출했으며, 법무와 국제통상에서 각 1명이 택했다. 기술직에서는 토목이 7명으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건축 2명, 기계 1명이다.
○ 네 번째로 많은 인원이 배치된 부처 : 행정안전부(17명)
행정직에서 11명, 기술직에서 6명이 각각 배치됐다. 행정직의 경우 일반행정이 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재경, 법무, 국제통상, 인사에서 각 1명이 진출했다. 기술직에서는 토목과 전산에서 각 2명, 건축과 통신에서 각 1명이 행안부을 선택했다. 
○ 다섯 번째로 많은 인원이 배치된 부처 : 산업자원통상부(16명)
행정직에서 12명, 기술직에서 4명이 각각 배치됐다. 행정직의 경우 재경에서 6명이 산자부로 진출했으며 일행과 국제통상에서 각 3명이 배치됐다. 기술직의 경우 기계, 전기, 화공, 건축에서 각 1명이 산자부로 진출했다.
< 참고사항 >
○ 5급 공채 행정고시 일반행정 수석(김00 신임사무관) : 국세청 발령
○ 5급 공채 행정고시 국제통상 수석(강00 신임사무관) : 농림축산식품부 발령
○ 5급 공채 행정고시 법무행정 수석(송00 신임사무관) : 공정거래위원회 발령

 

2. 2018년 행정고시 2차 합격자 대상 부처 선호도 조사
행정고시 2차 합격자 341명 가운데 각 시도로 배치되는 지역모집(50명)을 제외한 291명을 대상으로 부처 선호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 275명 가운데 15.3%가 기획재정부를 가장 희망하는 부처로 택했다.

 

○ 1위(15.3%) : 기획재정부
 - 최근 조사에서 가장 높은 수치이며, 2014년 11.5%, 2015년 13.8%, 2016년 15.1%, 2017년 15.0% 등으로 증가세를 보이며 기재부 선호도가 굳건해짐
 - 기획재정부 선호도가 단연 앞서가는 것은 우리 경제를 지휘하는 사령탑이면서 각 부처의 예산을 움켜쥐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재경직 합격자 가운데 39.5%가 기재부를 선호했으며, 당연히 성적 최우수자들이 기재부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 2위(12.4%) : 문화체육관광부
 - 이 당시 문화계의 블랙리스트와 화이트리스트로 세간의 시선이 곱지 않는 가운데서도 선호도는 2016년 10.2%보다 다소 증가하며 여전히 인기 부처에 꼽혔다.
○ 3위(9.9%) : 행정안전부
○ 4위(7.4%) : 금융위원회
우리나라 금융정책을 책임지고 있는 금융위 선호도는 7.4%로 지난해(2.6%)보다 크게 증가했으며 2016년(5.3%)에 비해서도 2.1%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공동 5위(7.0%) : 보건복지부
 - 복지부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 연속 4위를 차지하는 등 인기 부처에 들었지만 2016년(6.4%) 6위로 내려앉았다. 지난해 단독 5위를 기록했지만 올해 또 다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동 5위(7.0%) : 산업통상자원부
 - 산자부가 전반적으로 선호도가 높은 것은 실물경제 주무부처로서, 산업발전과 수출증대를 통해 우리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확충하고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라는 국가적 아젠다를 주도할 부처라는 인식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공동 5위(7.0%) : 교육부
○ 공동 8위(4.6%) : 공정거래위원회
 - 공정거래위원회의 선호도는 4.6%로 ‘뚝’ 떨어지며 순위도 4위에서 8위로 추락
 - 이 당시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들어서면서 퇴직간부 재취업 비리 이어 직원 이탈 현상에다 김상조 위원장의 리더십까지 도마에 오르면서 우려스러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 공동 8위(4.6%) : 국세청
○ 10위(3.3%) : 국토교통부
○ 이 밖에 통일부(2.5%), 감사원(2.5%), 과학기술정보통신부(2.1%), 환경부(1.7%), 법무부(1.7%), 인사혁신처(1.2%) 등이 다수 선호를 나타냈다.

○ 주요 직렬별 선호도를 보면 일반행정(전국)의 경우 2017년과 마찬가지로 문체부가 21.7%로 가장 많았으며 행안부가 15.8%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복지부(10.8%), 국토부(6.7%), 감사원(4.2%), 기재부(4.2%), 과기부(3.3%), 통일부(3.3%) 등이 다수의 관심을 끌었다.

○ 
재경직에서는 역시 기재부가 39.5%로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금융위(21.0%), 공정위(12.4%), 국세청(8.6%) 등의 순으로 꼽혔다. 지난 선호도 조사에서는 기재부-공정위-금융위- 국세청 등의 순이었다. 

○ 
기술직 2차 합격자의 선호도를 보면 국토부가 18.7%로 가장 많았다. 국토부 다음으로 특허청이 14.7%로 뒤를 이었으며 과기부가 13.3%로 3위를 차지했다. 이어 산자부가 10.7%로 4위를 기록했으며 행안부가 9.3%로 5위를 나타냈다. 환경부가 6.7%로 6위를 차지했다.

 

3. 2018년 행정고시 62기 신임사무관 부처 배정 현황

 

○ 가장 많은 인원이 배치된 부처 : 기획재정부(29명)
 - 재경 직렬에서 24명이 진출해 압도적이었다. 이는 재경직 신임사무관 77명 가운데 31.2%를 차지할 정도로 기재부 쏠림이 두드러졌다. 일반행정에서는 5명이 기재부로 배정받았다. 
○ 두 번째로 많은 인원이 배치된 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자원통상부, 보건복지부(각 19명)
 - 과기부의 경우 행정직에서는 11명이 택했다. 일반행정 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재경 3명, 국제통상 1명이 배정됐다. 기술직은 8명으로 방송통신(3명), 화공(2명), 기계, 전기, 전산 등의 직렬에서 진출했다.
 - 
산자부는 행정직(12명)에서 재경이 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국제통상(4명), 일반행정(3명) 등의 직렬이 포함됐다. 기술직(7명)에서는 기계 3명, 전기, 화공에서 각 2명이 배정됐다.

 - 복지부에는 행정직 18명, 기술직 1명이 배정됐다. 행정직은 일반행정이 11명으로 다수였으며 사회복지 3명, 재경과 국제통상에서 각 2명이 진출했다. 기술직은 전산 1명뿐이었다.
○ 세 번째로 많은 인원이 배치된 부처 : 국토교통부(18명)
 - 국토부는 행정직과 기술직이 반반이다. 행정직에서는 재경이 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일반행정(3명), 법무(1명), 국제통상(1명)에서 진출했다. 기술직은 토목이 7명으로 절대다수를 차지했으며 환경과 전산에서 각 1명이 배정됐다.
○ 직렬별로 보면 일반행정직(전국)은 138명이 감사원 등 35개 부처에 배정됐으며 지역구분 모집 33명은 각 시·도에 배치됐다. 일반행정에서 가장 많이 진출한 부처는 고용부로 12명이었다. 이어 농림부와 복지부 각 11명, 국무조정실 9명, 행안부 8명 등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재경직은 77명이 기재부 등 17개 부처에 배정됐다. 재경은 역시 기재부가 24명으로 압도적이었다. 이어 국세청(10명), 공정위(8명), 금융위(6명), 산자부(5명), 국토부(4명) 등의 부처에 집중됐다. 

 법무행정은 6명이 법제처, 공정위, 국토부, 인사처 등에 진출했다.

 국제통상(12명)은 산자부 등 8개 부처에 배치됐다.

기술직의 경우 일반토목(전국) 13명이 국토부 등 4개 부처, 기계(10명)는 산자부 등 6개 부처, 화공(8명)은 과기부 등 5개 부처, 전산(8명)은 감사원 등 8개 부처에 각각 배정됐다. 전기(7명)도 과기부 등 6개 부처에 진출했다. 
< 참고사항 >

○ 2015년 5급 공채 재경직 수석(김00 신임사무관) : 기획재정부 발령
○ 2016년 5급 공채 재경직 수석(남00 신임사무관) : 기획재정부 발령
○ 2015년 5급 공채 최연소 합격자(송00 신임사무관) : 기획재정부 발령
○ 2014년 5급 공채 최연소 합격자(노00 신임사무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발령
○ 2016년 5급 공채 국제통상 수석(최00 신임사무관) : 산업자원통상부 발령
○ 2017년 5급 공채 기계직 수석(조00 신임사무관) : 산업자원통상부 발령
○ 2017년 5급 공채 토목직 수석 : 해양수산부 발령
○ 2017년 5급 공채 화공직 수석(신00 신임사무관) : 산업자원통상부 발령
○ 2017년 5급 공채 법무행정 수석(최00 신임사무관) : 국토교통부 발령
○ 2017년 5급 공채 인사조직 수석(서00 신임사무관) : 행정안전부 발령
○ 2017년 5급 공채 일반행정 수석(최00 신임사무관) : 국세청 발령
○ 2014년 5급 공채 법무행정 수석(최00 신임사무관) : 공정거래위원회 발령

 

4. 2017년 행정고시 2차 합격자 대상 부처 선호도 조사
2017년 행정고시 2차 합격자 340명 가운데 각 시도로 배치되는 지역모집(43명)을 제외한 297명을 대상으로 부처 선호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 267명 가운데 15%가 기획재정부를 가장 희망하는 부처로 택했다.

 

○ 1위(15.0%) : 기획재정부
기획재정부 선호도가 높은 것은 우리 경제를 지휘하는 사령탑이면서 각 부처의 예산을 움켜쥐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재경직 합격자 가운데 42.4%가 기재부를 선호했으며, 당연히 성적 최우수자들이 기재부에 지원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 2위(12.4%)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부에 대한 인기가 높은 것은 한류 열풍이 한 몫을 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콘텐츠산업 재도약과 생활 속 문화체육관광 참여기회 확대 등 문체부의 역할이 커진 것이 선호도에 반영된 것으로 보임
○ 3위(10.1%) : 행정자치부
행자부는 2015년 조사에서는 12.4%로 3위를 차지했지만 2016년은 4.5%로 크게 줄면서 10위로 ‘뚝’ 떨어졌다. 하지만 다시 선호도가 크게 상승하면서 3위까지 올랐다.
○ 4위(9.7%) : 공정거래위원회
공정위가 ‘경제검찰’이란 업무 특수성이 있고 은퇴 후 재취업 등의 장점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에 높은 선호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5위(7.9%)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 연속 4위를 차지하는 등 인기 부처에 들었지만 2016년 6위로 내려앉았다. 2017년 4위를 되찾았지만 예년에 비해 그 비율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음
이 밖에 인사혁신처(1.9%), 환경부(1.5%), 고용부(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1.1%), 농림부(1.1%), 법무부(1.1%), 법제처(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직렬별 선호도를 보면 일반행정(전국)의 경우 2016년과 마찬가지로 문체부가 2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행자부가 22명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행자부의 경우 2016년에는 7명에 그쳤지만 2017년에는 크게 증가했다. 다음으로 복지부 14명, 통일부 5명, 감사원, 국세청 각 4명 등으로 높은 관심을 끌었다. 

재경직에서는 역시 기재부가 37명으로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공정위(22명), 금융위(6명), 국세청(5명) 등의 순으로 꼽혔다. 

 

출  처 : 법률저널 기사(www.lec.co.kr)

 

아래 글도 같이 참고해 보시고 도움이 되셨다면 소통과 구독해 주시길 바랍니다.

2022.05.26 - [시험정보/공무원] - 5급 행정고시 합격자(사무관) 부처배치 및 선호도 통계(2019~20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