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험정보/공무원 199

공무원 직장예절 안내(1탄)

공무원 직장예절 안내(1탄) 1. 예절의 의의 ○ 일반적으로 예절은 사회생활에서 발생하는 개인과 개인 간에 지켜야 할 도리로서 서양에서는 '에티켓(etiquette)' 또는 '매너(manner)'라고 한다. 이와 비슷한 의미인 의전은 어떤 조직, 국가, 국제간 등 공식적인 관계에서 건전한 상식에 입각한 지켜야 할 도리로서 서양에서는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한다. ※ 에티켓의 어원 : 프랑스어로 ‘Estiquier’(나무말뚝에 붙인 표지 : 출입금지)에서 유래. 누군가가 베르사유궁전 화원에 들어가 꽃을 밟아버린 사건이 생기자 화원 주변에 출입금지라는 뜻으로 말뚝을 박아 출입을 막았는데 이 말뚝에 써 있던 말이 프랑스어의 에티켓이었고 그 후 상대방의 ‘마음의 화원’을 해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넓게..

공무원 임대아파트(주택) 입주정보 안내

공무원 임대아파트(주택) 입주정보 안내 1. 전국의 공무원 임대주택 운영현황 ▶ 무주택공무원의 주거안정을 위하여 전국 52개 단지에 16,333세대를 임대주택으로 운영 2. 임대아파트 입주대상 공무원 ▶ 임대주택 소재지 또는 기관 소재지에 세대주를 포함하여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인 자 ▶ 입주신청일로부터 연속하여 무주택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자 ▶ 배우자, 직계 존·비속, 배우자의 직계 존속과 동거하고 있는 자 ▶ 임대주택 거주기간이 2년 이하인 자 3. 임대아파트 신청절차 ▶ 기존 임대아파트의 공실이 발생되면 공무원연금관리공단에서 배정 관련한 공고를 내게 됩니다. 해당 공고의 내용에 따라 각 국가기관 및 지자체에서 소속직원들에게 신청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됩니다. 입주신..

보고서 작성법 다운(2탄)

보고서 작성법 다운(2탄) 사무직 직군에 계신 분들이라면 한번 쯤이라면 보거나 작성하게 될 것이 보고서 입니다. 보고서의 구성에 따라 상황보고서, 결과보고서, 추진보고서 등 다양하고 보고서의 양에 따라 1장에 모든걸 담아야하는 요약보고서도 존재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보고서의 구성이나 서식를 다루는 것이 아닌 전반적으로 필요한 내용들, 숙지하고 작성해야되는 것에 대해서 안내 하겠습니다. 참고하시어 명품 보고서를 작성하시길 바랍니다. 3. 논리적인 틀이 있는 글쓰기 □ 주제는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하되, 주제는 하나여야 한다 ○ 글을 쓰는 사람의 의도가 읽는 사람에게 분명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주제는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주제의 범위는 가급적 좁게 한정해야 한다. ○ 주제가 둘 이상이거나 주제에 초점이 맞..

보고서 작성법 다운(1탄)

보고서 작성법 다운(1탄) 사무직 직군에 계신 분들이라면 한번 쯤이라면 보거나 작성하게 될 것이 보고서 입니다. 보고서의 구성에 따라 상황보고서, 결과보고서, 추진보고서 등 다양하고 보고서의 양에 따라 1장에 모든걸 담아야하는 요약보고서도 존재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보고서의 구성이나 서식를 다루는 것이 아닌 전반적으로 필요한 내용들, 숙지하고 작성해야되는 것에 대해서 안내 하겠습니다. 참고하시어 명품 보고서를 작성하시길 바랍니다. 1. 글 잘 쓰는 기술자가 성공한다 □ 기술자가 왜 글을 잘 쓰야 하는가 ? ○ 기술자도 어떤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제안서를 작성하고, 기획안을 내고, 예산을 상정하고 상관의 동의를 얻어야 개발에 착수할 수 있다. 말로서 간단히 하는 것이 아니라 보고서를 자세히 작성, ..

공직자(공무원)의 의무 및 금지사항

공직자(공무원)의 의무 및 금지사항 7대 의무사항 1. 성실 의무 : 국가공무원법 제56조 모든 공무원은 법령을 준수하며 성실히 직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제2조의2(책임완수) 공무원은 국민 전체의 봉사자로서 직무를 민주적이고 능률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창의와 성실로써 맡은 바 책임을 완수하여야 한다. 2. 복종의 의무 : 국가공무원법 제57조 공무원은 직무를 수행할 때 소속 상관의 직무상 명령을 복종하여야 한다. ※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제3조(근무기강의 확립) ① 공무원은 법령과 직무상 명령을 준수하여 근무기강을 확립하고 질서를 존중하여야 한다. ② 공무원은 집단․연명(連名)으로 또는 단체의 명의를 사용하여 국가의 정책을 반대하거나 국가정책의 수립․집행을 방해해서는 아니 된다. 3..

공무원 연금대출 신청 안내

공무원 연금대출 신청 안내 가. 시행근거 : 공무원연금법 제77조 제2항 제5호 나. 대출대상 : 공무원연금법 제3조 및 동법 시행령 제2조에 의한 공무원 다. 대출 종류 및 대상 라. 대출종류별 신청자격 ◯ 대출종류 : 일반대출, 주택자금대출, 사회정책적대출 ◯ 임용 후 최초 대출자로 대출요건을 충족하는 자 또는 ’21.12.31. 까지 연금대출금을 상환완료한 자로 대출요건을 충족하는 자 마. 대출한도 ◯ 최소 대출금액 : 최소 100만원 이상 (10만원 단위로 신청 가능) ◯ 예상퇴직급여 1/2범위 내에서 공단 채무액을 공제한 금액 중 최고 7,000만원까지 가능 ♣ 예상퇴직급여 : 퇴직(연금)일시금과 퇴직수당 포함 ♣ 공단채무액 : 합산반납금, 급여환수금, 미납기여금, 대여학자금, 연금대출 등 바...

공무원 출산준비용품 지원사업 안내

공무원 출산준비용품 지원사업 안내 공무원연금공단은 공무원의 복지향상과 정부의 출산장려정책에 적극 부응하기 위해 임신·출산 공무원에게 출산준비용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지원대상 ○ 임신부 또는 2022년 출산 공무원 ※ 부부공무원인 경우 1인만 신청 가능. 2021년에 동일 자녀로 지원받은 공무원 제외 ※ 태아를 기준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부부공무원의 경우 1인에게만 지원됩니다. 다태아의 경우 자녀 수 만큼 지원됩니다. * 쌍둥이 140,000포인트, 세 쌍둥이 210,000포인트 ▶ 신청기간 ○ 2022. 1월 ~ 12월 ※ 임신 중인 경우 언제든지 신청 가능하고, 2022년 출산한 경우 올해 (사업종료 전)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다만, 2021년 출산 후 미신청한 경우 자녀 출산 후 6개월 이..

경찰공무원 공채시험 면접 기출질문(지방청별 면접질문 정리)

경찰공무원 공채시험 면접 기출질문 (지방청별 면접질문 정리) 1. 서울지방경찰청 공채 면접 기출질문 ● 경찰업무 중 자신의 전문성을 어떻게 살릴 것인가? ● 자신이 경찰관이 되었을 때,SNS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SNS에 어떤 내용을 올릴 것인가?) ● 근속승진 계급이 어디까지 인지? 어느 계급까지 승진하고 싶은가? ● 지구대 근무하는 사람이 비번에도 순찰하는데,순찰자 보면서 무슨 생각이 드는가? ● 경찰관의 중요 덕목은? ● 상사의 부당한 지시 따를 것인가? ● 동료가 명품을 치장하고 다니면? ● 독도에 일본이 무력으로 침공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 휴가 중에 여자 친구와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 조폭들이 어떤 사람을 구타하고 있다. 어떻게 할 것인가? ● 시위 진압 시 동료가 흥분하는 것을 목격..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순위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순위 대통령 권한대행 ? ○ 대통령이 모종의 이유(궐위, 사고 등)로 대통령직을 더는 수행하기 어려울 때, 대통령을 대신하여 그 직무를 수행하는 일 - 궐위(蹶位) : 대통령이 임기 중에 사망하거나, 하야하거나, 헌법재판소의 탄핵소추 인용 결정에 의해 파면된 경우 - 사고(事故) : 대통령이 의식불명 상태(중병으로 인한 재개 상태)에 빠지거나, 국회에 의해 탄핵소추된 경우 등 직위에 있으나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 보통 권한대행은 관련 법률에 의거 1순위인 국무총리가 맡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헌법(憲法)은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총리를 임명할 때 최소한의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의 동의(의결)를 받도록 하고 있다. ○ ..

대한민국 의전서열 순위

대한민국 의전서열 순위 순 위 지 위 정 보 1위 대통령 대한민국의국가원수, 대한민국 행정부의 수장 2위 국회의장 대한민국 입법부의 수장 3위 대법원장 대한민국 사법부의 수장 헌법재판소장 헌법재판소의 수장 5위 국무총리 대한민국 정부의 부수장 대한민국 국무총리 직속 기관의 수장 6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7위 여당대표 부총리급의 예우를 받는다. 8위 야당대표 9위 국회부의장 부총리급 10위 감사원장 11위 경제부총리겸기획재정부장관 12위 사회부총리겸교육부장관 13위 국가정보원장 장관급 14위 국가안보실장 15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16위 여당 원내대표 17위 야당 원내대표 18위 대통령비서실장 19위 외교부장관 20위 통일부장관 21위 법무부장관 22위 국방부장관 23위 행정안전부장관 24위 문화체..

공무원노동조합의 설립근거와 활동 안내

공무원노동조합의 설립근거와 활동 안내 ▶ 공무원노동조합에 대한 법적근거 ○ 헌법 제33조 제2항은 공무원의 노동기본권(단결권・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 보장을 법률에 유보하고 있으며, 공무원의노동조합설립및운영등에관한법률(이 하 ‘공무원노조법’이라 함)이 2005. 1. 27 제정되고, 1년 후인 2006. 1. 28부터 시행되어 공무원의 노동조합 활동이 법적으로 보장되었음 ○ 다만, 국가공무원 제66조(지방공무원법 제58조) 제1항에서 공무원의 집단행위 에 대해서는 엄격히 제한하고 있음 ▶ 공무원노동조합의 의의 ○ 공무원노동조합이란 공무원이 주체가 되어 자주적으로 단결하여 근로조건의 유지・ 개선 기타 공무원의 경제적・사회적 지위의 향상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조직하는 단체 또는 그 연합단체를 말함 ※ 공무원..

공무원 휴직 관련 주요 질의답변

공무원 휴직 관련 주요 질의답변 [ 공무원 질병휴직 ] [질문 1] 당초 질병휴직을 하였던 공무원이 상태가 호전되어 복직하였다가, 이후 동일질 병의 재발로 정상적인 근무가 어려운 경우, 새로운 질병휴직이 가능한지? • 질병휴직은 그 횟수의 제한은 없으나 동일 질병으로 2년을 초과할 수 없으므로, 휴직기간 (2년)이 만료되기 전에 복직한 경우에는 2년의 범위 내에서 휴직기간의 연장이 가능하나, 휴직기간이 만료된 후에도 직무를 정상적으로 감당할 수 없을 때에는 직권면직 할 수 있음 (임용규칙 제58조제1항) • 다만 휴직기간 만료로 복직 후 정상적인 근무가 상당기간 지속되다가 재발된 경우에는 질병의 정도, 요양기간, 요양 후 정상적인 근무수행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새로 운 휴직을 부여할 수 있음(임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