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험정보/공무원 199

'회의'의 일반적인 9가지 원칙

'회의'의 일반적인 9가지 원칙 [ 회의의 일반적인 9가지 원칙 ] 1. 회의 공개의 원칙 회의는 원칙적으로 공개하여야 한다. 이는 회의를 공정하게 진행하여 좀더 좋은 결론을 내기 위함이다. 회의를 공개한다 함은 방청의 자유를 인정하고, 회의 모습이나 기록을 여러사람들이 알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정당한 사유가 있을 때에는 비공개로 할 수도 있다. 2. 정족수(定足數)의 원칙 회의에서 의안을 심의하고 의결하기 위해, 일정수 이상의 참석자수가 필요하다. 이를 정족수의 원칙이라고 하는데, 정족수에는 의사 정족수와 의결 정족수가 있다. (1) 의사 정족수 ① 회의를 개최하는데 칠요한 인원수를 의사 정족수라 한다. ② 회의를 시작해서 끝날 때까지 일정수 이상의 회원이 참가해야 한다. ③ 우리나라 국회의 의사 정..

2021년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지급단가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지급단가 (단위 : 원) 직 종 계급・직무등급 시간외(시간당) 야간(시간당) 휴일(일당) 일반직・특정직 (외무・군무원) ・별정직 5급・5등급 14,215 4,738 114,269 6급・4등급 12,124 4,041 97,458 7급・3등급 10,952 3,651 88,034 8급・2등급 9,832 3,277 79,035 9급・1등급 8,887 2,962 71,439 전문경력관 등 가 군 14,456 4,819 116,201 나 군 11,477 3,826 92,260 다 군 9,229 3,076 74,190 일반직 우정직군 1 급 16,625 5,542 133,637 2 급 15,576 5,192 125,203 3 급 14,524 4,841..

공무원 유연근무제 안내

공무원 유연근무제 안내 가. 유연근무제의 유형 1. 탄력근무제 ‣주 40시간 근무하되, 출퇴근시각・근무시간・근무일을 자율 조정 1) 시차출퇴근형 ‣기본개념 : 1일 8시간 근무체제 유지, 출퇴근시간 자율 조정 ‣실시기간 : 1일 이상 ‣신청시기 : 당일까지 신청하되, 당일 24시까지 부서장 승인 ‣출근유형 : 가급적 07:00~10:00까지로 30분 단위로 하되 필요시 탄력적으로 운영 가능 2) 근무시간 선택형 ‣기본개념 : 일 8시간에 구애받지 않음(일 4~12시간 근무), 주 5일 근무 준수 ‣실시기간 : 1주 이상으로 하되 당일 신청 시 2일 이상 ‣신청시기 : 당일까지 신청하되, 당일 24시까지 부서장 승인 ‣근무가능시간대는 06:00~24:00로 하되 1일 최대 근무시간은 12시간 3) 집약근무..

공무원의 직무의무와 책임

공무원의 직무의무와 책임 가. 공무원의 직무상 의무 (가) 성실의 의무(법 제48조) ○ 모든 공무원은 법령을 준수하며 성실히 그 직무를 수행하여야 함 (나) 복종의 의무(법 제49조) ○ 소속 상사의 직무상의 명령에 복종하여야 함 ○ ʻ직무상 명령ʼ은 정당한 권한을 가진 소속 상사가 발(發)하고, 직무에 관한 명령이며, 내용이 법률상 실현가능하고 적법한 것이어야 함 (다) 직장이탈 금지(법 제50조) ○ 소속 상사의 허가 또는 정당한 이유 없이 직장을 이탈하지 못함 ※ 수사기관이 공무원을 구속할 경우 소속기관장에게 통보하여야 함 (현행범은 제외) ○ ʻ직장ʼ은 공무원이 소속되어 근무하는 공간개념으로서의 부서를 의미함 ○ 아울러, 위 의무 위배는 징계사유일 뿐만 아니라 형법상 직무유기죄를 구성함 (라) ..

지방공무원의 개념과 종류

지방공무원의 개념과 종류 □ 지방공무원의 개념 (1) 법 적용대상 공무원 ○ 광의의 공무원* 개념에 속하는 지방공무원 중에서 특수경력직인 정무직(자치단체장, 의회의원 등)・별정직 공무원은 법 제5장 보수 및 제6장 복무에 관한 규정을 제외 하고는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법 적용대상에서 배제 * 국가 또는 공공단체와 특별한 공법상의 근무관계를 유지하면서 공무를 담당하는 기관의 구성자로서 법 제2조에서 규정하는 공무원을 포괄하는 개념 ○ 한편, 지방의회의원, 선거에 의하여 취임한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복무규정 제8조에 따라 정치운동이 허용하는 공무원에 해당 (2) 국가공무원과의 구분 □ 지방공무원의 종류 가. 경력직공무원 (1) 일반직공무원 【기술・연구 또는 행정 일반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면서, 직군・직렬별로..

대우공무원 수당 지급기준

대우공무원 수당 지급기준 '대우공무원' 이란? 일반직 및 기능직 공무원 중 당해 계급에서 승진소요 최저 연수 이상 근무하고 승진임용의 제한 사유가 없으며 근무 실적이 우수한 자를 바로 상위 직급의 대우공무원으로 선발할 수 있도록 한, 우리나라의 독특한 승진 제도를 말함. 이에따라, 해당직급에 일정기간이 소요된 공무원의 경우 대우공무원 수당이 별도로 지급된다. 가. 지급대상 「공무원임용령」 제35조의3(대우공무원 및 필수 실무관의 선발・지정 등), 「군무원인사법 시행령」 제44조(대우군무원 및 필수실무요원의 선발 및 지정 등), 「경찰공무원 승진임용 규정」 제43조(대우공무원의 선발 등) 및 「소방공무원 승진임용 규정」 제43조(대우공무원)에 따라 대우공무원으로 선발된 공무원 나. 지 급 액 : 해당 공무..

공무원 관외출장비 지급규정

공무원 관외출장비 지급규정 1. 근무지외 여비의 계산 가. 지급되는 여비항목 : 운임, 숙박비, 식비, 일비 나. 여비의 조정(영 제28조) 1) 소속 기관의 장은 예산의 부족 또는 그 밖의 사유로 여비를 지급하지 아니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인정될 때에는 지급하는 여비를 감액하거나 여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급하지 아니할 수 있다. ☞ 예산의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2) 2명 이상의 공무원이 같은 목적으로 동행하여 출장하는 경우에 출장목적 수행상 부득이하다고 인정될 때에는 운임・숙박비 및 식비에 한정하여 상급자와의 동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등급에 해당하는 여비를 지급할 수 있다. ☞ 강제규정은 아니다보니, 보통은 개별적으로 지급 2. 운 임 가. 국내철도운임 지급기준 1) 국내철도운임은 실비로 지급..

공무원 관내출장비 지급규정

공무원 관내출장비 지급규정 공무원의 경우에는 주요 민원사항 또는 현장점검 등이 필요한 경우 출장을 나가게 되는데, 해당 관서의 지자체 범위 내에서 출장을 가게되면 관내출장, 그 밖에 다른 지자체로 갈 경우에는 관외출장이라고 합니다. 공무원의 관내출장의 경우에도 출장비가 지급되는데 어떤 경우에 얼마만큼 지급이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근무지내 국내출장의 의미 가.‘근무지내 국내출장’이란 같은 시(특별시,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군 및 섬 안에서의 출장이나 여행거리가 12km 미만인 출장을 말한다. 1) 이 때의 여행거리는 왕복거리를 기준으로 한다. 2) 출장시 그 거리가 12km를 넘더라도 동일한 시・군 및 섬 안에서의 출장인 경우 근무지외 출장이 아니고 근무지내 출장에 해당된다..

공문서 작성 참고사항

공문서 작성 참고사항 1. 관련 근거의 표시 ◐ 한글 맞춤법상 "관련입니다"는 국립국어연구원에서 맞지 않는 표현입니다. "관련됩니다." 또는 "관련된 문서입니다." 로 표현하는 것이 맞습니다. ◐ 날짜 표시는 연월일에 모두 온점(.)을 찍고, "호"는 적어도 무방하나, 굳이 표시한다면, [총무과-12호(2004. 2. 12.)와 관련됩니다.]로 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예시 틀린 내용 총무과-12(2004. 2. 12)호와 관련입니다. 맞는 내용 총무과-12(2004. 2. 12.)와 관련됩니다. 또는 총무과-12호(2004. 2. 12.)와 관련됩니다. ※ 국립국어연구원에 문의하여 확인한 내용입니다. 2. 쌍점(:) 표시, 날짜 표시, 시분 표시, 어문 규범상 옳은 표현은? ◐ 일시 다음에 쌍점(:) 표..

지방공무원 휴직원, 복직원 작성서식/다운

공무원 휴직원, 복직원 서식/다운 공무원들은 휴직할 때는 휴직원, 복직할 때는 복직원을 내야 본인 원에 따른 처리가 되는데요. 휴직에는 질병휴직, 육아휴직, 가사휴직, 병역휴직, 해외휴학 휴직 등이 있습니다. 그에 따른 필요한 첨부서류 및 근거조항이 다르기에 서식에도 약간의 차이가 있어 참고하시라고 안내해드립니다. 요새는 민간회사에서도 휴직, 복직이 많은 만큼 서식을 참고하시어 내부문서로 변경사용 할 수 있겠습니다. 1. 공무원 육아휴직 총정리 2. 공무원 육아휴직수당 3. 공무원 휴직제도 총정리

공문서 작성 시 사용되는 외국어, 외래어 표현/다운

공문서의 외국어, 외래어 표현/다운 안녕하세요 여러분~! 공문서를 작성할 때는 알기 쉬운말, 우리말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허나 점차적으로 세계화 및 기술개발이 되다보니 여러 외래어가 자연스레 우리말처럼 쓰여 이를 우리말로 표현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는 주로 공문서에 표현되는 외국어, 외래어를 다듬은 표현들 입니다. 참고시어 올바른 공문서 작성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외국어‧ 외래어 표현 원어 다듬은 말 1 가이드 라인 guideline 지침, 방침 2 글로벌 global 국제(화), 세계(화) 3 드라이브 스루 drive-through 승차 구매, 승차 검진 4 리콜 recall 결함 보상(제) 5 매뉴얼 manual 지침, 설명서, 안내서 6 메가 트렌드 mega trend 대..

반응형